저번 포스팅에서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부채를 보고나면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이라는 정보에 대해서 알 수 있게 됩니다.
그럼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은 과연 어떤걸 말하는걸까요?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유동부채 * 100 을 의미합니다.
회사를 운영하면서 자기 자본만으로 회사를 운영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즉 어디선가 빌려온 부채가 있다는건데요
유동비율은 1년내에 갚아야하는 부채인 유동부채를 갚을 수 있는 채무능력을 측정한 값입니다.
해당 비율이 낮다면 당장 갚아야하는 부채를 갚지 못하는 부실한 회사인것이겠죠.
통상적으로 200%이상이 되는 회사를 안정적이라고 합니다.
부채비율
위에서 말한 것처럼 회사의 자본은 자신의 자본과 빌려온 자본으로 섞인 경우가 많은데요.
회사의 총 자본에서 자신의 자본과 빌려온 자본의 비율을 측정한 것이 부채비율입니다.
부채비율을 체크해보면 회사의 자본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부채비율이 높으면 무조건 안좋은걸까요?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자기 자본만으로는 회사의 가치와 수익률을 크게 상승시키기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외부 자본을 빌려와 회사의 자산을 불려서 ROE 를 높이는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외부 자본은 경기가 어려워졌을때 회사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200% 이내의 부채비율을 적당하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회사를 평가하는 기준을 세우는데는 정말 많은 정보가 필요하네요 ㅎㅎ
열심히 공부해서 우리 모두 주식부자가 되어봅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유동부채, 고정부채 (0) | 2023.02.11 |
---|---|
[주식] BPS , PBR , EPS , PER , POE 가 뭘까?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