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4

[경제용어] 소비자 물가 지수(CPI) 의 의미

소비자 물가 지수가 뭘까? 소비자물가지수는 특정 시간 기간 내에 일정한 일련의 상품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평균 가격의 상승률을 측정한 지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계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추적하며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는 어떻게 측정되는걸까? 소비자물가지수는 국가별로 측정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식료품, 의류, 주거, 교통, 의료, 교육 등과 같은 대표적인 생활 필수품과 서비스를 대상으로 측정됩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적으로 기준 연도를 100으로 설정하고, 이후 연도에서의 지수를 비교하여 가격변동을 측정합니다. 소비자 물가지수가 오르고 내리면 어떤 현상인걸까?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하면, 일정 기간 내에 일반적으로 구매하는 ..

경제 용어 2023.02.25

[경제 용어] 원자재, 생산재, 소비재

재화 경제에 아주 필수적인 개념이죠 그리고 재화는 서로 얽혀있습니다. 얼마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코로나19 같은 여러 이슈들 때문에 원자재 가격에 대한 뉴스가 많았습니다. 원자재라고 하면 자세하게 알고 계신분도 있고 어렴풋하게 알고 계신분도 있겠지만 다른 자본재, 생산재, 중간재, 소비재는 각각 무엇을 의미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다들 어떤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요? 원자재 원자재는 가장 아래에 있는 기본 재화쯤 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공업생산의 원료가 되는 자재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곡물, 광석, 원유, 금, 은 같은것들이 있습니다. 원자재는 모든 산업의 기본이 되는 재화이기 때문에 가격에 따라 산업에 영향을 많이줍니다.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받지만 보통 경기가..

경제 용어 2023.02.12

[주식] 유동부채, 고정부채

순자산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유동부채와 고정부채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 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 + 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을 의미하는데요! 대충 부채라고 하면 감은 오지만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역시 유동부채와 고정부채에 대해서 한번쯤 알아보고 넘어 가야할 것 같습니다 먼저 부채란 뭘까요? 부채 부채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총재산 중에서 남으로부터 빌려온 재산을 의미합니다. 그럼 위에서 말한 순자산의 의미가 좀 더 확 와닿죠? 유동부채 유동부채란 남에게 빌려온 재산 중에서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재산입니다. 유동부채에도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매입채무 매입채무는 물건을 사고 일정기간 후에 돈을 주기로 하거나 물건을 팔고 어음을 주었을 경우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주식 2023.02.11

[주식] BPS , PBR , EPS , PER , POE 가 뭘까?

안녕하세요! 회사에 관련된 기사나 주식기사를 읽다보면 제목에 나오는 무슨 말인지도 모를 용어들이 잔뜩 등장하곤 하는데요. 비슷비슷하게 생긴 단어도 있어서 볼때마다 이게 뭔가 싶었습니다 ㅎㅎ 이제 막 공부를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잘 읽다가도 저런 용어를 만나면 흐름이 끊어지곤 했는데 이번에 블로그를 개설하면서 알아두고 가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정리를 해봤습니다! 순서대로 읽으면 좀 더 이해가 쉽도록 작성했으니 천천히 읽어봐주세요. BPS (BPS , Book-value per share) 한국어로는 주당순자산가치 라고 한다.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 * 순자산이란 기업의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 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 + 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을 말합니다. ..

주식 2023.02.11